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728x90
반응형
228

파이썬 비트단위 연산자 ~ 틸드 비트단위(bitwise)연산자 ~ (tilde, 틸드라고 읽는다.) ~ not & and | or ^ xor right shift ex) 1= 00000001 ~1 = 11111110 = -2 참고: 코드업 설명 컴퓨터에 저장되는 모든 데이터들은 2진수 형태로 바뀌어 저장된다. 0과 1로만 구성되는 비트단위들로 변환되어 저장되는데, 양의 정수는 2진수 형태로 바뀌어 저장되고, 음의 정수는 "2의 보수 표현"방법으로 저장된다. 양의 정수 5를 32비트로 저장하면, 5의 2진수 형태인 101이 32비트로 만들어져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101 로 저장된다.(공백은 보기 편하도록 임의로 분리) 32비트 형의 정수 0은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 2021. 4. 23.
파이썬 둘 다 아닐 때 둘 다 false 일 때 조건식: 코드업 6058 a, b = map(int, input().split()) if (not(bool(a) or bool(b))): print(True) else: print(False) 2021. 4. 23.
코드업 기초 100제 코드 답 6056, 7 파이썬 boolean a, b = map(int, input().split()) if (bool(a) != bool(b)): #7번은 == print(True) else: print(False) 2021. 4. 23.
코드업 기초 100제 코드 답 6052,3,4,5,6 파이썬 boolean 6052 a = int(input()) print(bool(a)) 6053 a = bool(int(input())) print(not a) 6054 a, b = input().split() print(bool(int(a)) and bool(int(b))) 6055 a, b = map(int, input().split()) print(bool(a) or bool(b)) 6056 a, b = map(int, input().split()) print(bool(a)^bool(b)) 2021. 4. 23.
파이썬 문자열 숫자로 바꾸기, 문자 유니코드로 출력 chr(), ord() 유니코드(unicode)는 세계 여러 나라의 문자를 공통된 코드 값으로 저장할 때 사용하는 표준 코드이다. 컴퓨터로 저장되고 처리되는 모든 데이터들은 2진수 형태로 정수화 되어야 하는데, 컴퓨터에 문자를 저장하는 방법으로 아스키코드(ASCII Code)나 유니코드(Unicode)가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영문 대문자 'A'는 10진수 값 65 로 표현하고, 2진수(binary digit) 값 1000001 로 바꾸어 컴퓨터 내부에 저장한다. ord( ) 는 어떤 문자의 순서 위치(ordinal position) 값을 의미한다. 실제로 각각의 문자들에는 연속된 정수 값이 순서에 따라 부여 되어 있다. A:65, B:66, C:67 .... ord(c) : 문자 c 를 10진수로 변환한 값 n = or.. 2021.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