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인터페이스 : 독립적으로 떨어져 있는 시스템끼리 서로 연동하여 상호 작용하기 위한 접속 방법이나 규칙을 말함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증 방법]
<요구사항 검토>
- 동료검토 :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자가 명세서 내용을 직접 설명하고 동료들이 이를 들으면서 결함을 발견하는 형태의 검토 방법
- 워크스루 : 검토 회의 전에 요구사항 명세서를 미리 배포하여 사전 검토한 후에 짧은 검토 회의를 통해 결함을 발견하는 형태의 검토 방법
- 인스펙션 :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자를 제외한 다른 검토 전문가들이 요구사항 명세서를 확인하면서 결함을 발견하는 형태의 검토 방법
<CASE 도구 활용>
일관성 분석을 통해 요구사항 변경 사항의 추적 및 분석, 관리, 표준 준수 여부를 확인한다.
[시스템 연계 기술]
DB Link: 디비에서 제공하는 디비 링크 객체를 이용하는 방식
API: 운영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 등에 있는 라이브러리를 응용 프로그램 개발 시 이용할 수 있도록 규칙 등에 대해 정의해놓은 인터페이스를 말함
Open API: API 중 누구나 무료로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새로운 API를 추가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 =>얘네는 송신 시스템의 디비에서 데이터를 읽어와 제공하는 앱 프밍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연계 솔루션: EAI(송수신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송수신 모니터링/통제하는 시스템) 서버와 송수신 시스템에 설치되는 클라이언트를 이용하는 방식
소켓: 서버는 통신을 위한 소켓을 생성하여 포트를 할당하고 클라이언트의 통신 요청 시 클라이언트와 연결하여 통신하는 네트워크 기술
웹 서비스: 웹 서비스에서 웹 서비스와 관련된 언어 WSDL, 인터넷에서 자신의 목록을 등록하기 위한 언어 UDDI, 웹 서비스를 실제로 이용하기 위한 객체 간 통신 규약인 SO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연계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통신 유형]
단방향: 시스템에서 거래를 요청만 하고 응답이 없는 방식
동기: 시스템에서 거래를 요청하고 응답이 올 때까지 대기(Request-Reply)하는 방식
비동기: 시스템에서 거래를 요청하고 다른 작업을 수행하다 응답이 오면 처리하는 방식(Send-Receive, Send-Receive-Acknowledge, Publish-Subscribe)
[인터페이스 처리 유형]
실시간 방식: 요청한 내용 바로 처리
지연 처리: 데이터를 매건 단위로 처리하면 비용이 많이 발생할 때 사용
배치 방식: 대량의 데이터 처리 시 사용
'정보처리기사 > 신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처기: DB(구처기랑 거의 겹침) (0) | 2020.08.16 |
---|---|
화이트박스 테스트 기법과 블랙박스 테스트 기법 차이 (0) | 2020.08.16 |
미들웨어 정의 및 종류 (0) | 2020.08.16 |
디자인 패턴: 생성, 구조, 행위 패턴 (0) | 2020.08.16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아키텍처 패턴 (0) | 2020.08.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