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별자 Identifier]
하나의 개체 내에서 각각의 인스턴스를 [ci1] 유일하게 구분할 수 있는 구분자. 모든 개체는 한 개 이상의 식별자를 반드시 가져야 한다.
- 주 식별자 : 개체를 대표하는 유일한 식별자. 물리적 테이블에서의 기본키. 유일/최소/불변/존재성 0
- 보조 식별자 : 주 식별자 대신 개체를 식별할 수 있는 속성. 물리적 테이블에서의 유니크 인덱스[ci2]
두 식별자 모두 개체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어야 하는데, 하나의 개체에 주 식별자는 한 개만 존재하지만 보조 식별자는 한 개 이상 존재한다.
- 내부 식별자 : 개체 내에서 스스로 만들어지는 식별자
- 외부 식별자 : 다른 개체와의 관계에 의해 외부 개체의 식별자를 가져와 사용하는 식별자
ㄴ자신의 개체에서 다른 개체를 찾아가는 연결자 역할을 한다.
- 단일 식별자 : 주 식별자가 한 가지 속성으로만 구성된 식별자
- 복합 식별자 : 주 식별자가 두 개 이상의 속성으로 구성된 식별자
- 원조 식별자 : 업무에 의해 만들어지는 가공되지 않은 원래의 식별자로, 본질 식별자라고도 한다.
- 대리 식별자 : 주 식별자의 속성이 두 개 이상인 경우 속성들을 하나의 속성으로 묶어 사용라는 식별자로, 인조 식별자라고도 함
- 후보 식별자 : 개체에서 각 인스턴스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속성 또는 속성 집합을 의미
ㄴ널 값이 될 수 없다.
[ci1]데이터 개체를 구성하고 있는 속성들에 데이터 타입이 정의되어 구체적인 데이터 값을 갖고 있는 것
[ci2]속성값에서 중복값이 없도록 하는 인덱스
'정보처리기사 > 신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기술 용어 정리 (0) | 2021.05.28 |
---|---|
릴레이션, 키 구조와 정의, 종류. 정규화 과정 (0) | 2020.08.16 |
RDB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DM 관계형 데이터 모델 (0) | 2020.08.16 |
신처기: DB(구처기랑 거의 겹침) (0) | 2020.08.16 |
화이트박스 테스트 기법과 블랙박스 테스트 기법 차이 (0) | 2020.08.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