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1. 프로세스 제어
실행 중인 프로그램은 실행을 정상적으로 혹은 비정상적으로 끝낼 수 있어야 하는데, 전자를 '끝내기 end', 후자를 '중지 abort'라고 한다. 이런 행동을 할 때 시스템 콜이 발생한다는 건데, 이외에도
적재, 실행, 프로세스 생성/종료/속성획득/속성설정, 시간 기다림, 사건 기다림/알림, 메모리 할당/자유화 등을 위해서도 발생한다.
2. 같은 맥락으로 파일 조작에서도 파일 생성/삭제, 열기, 닫기, 읽고 쓰고 위치 변경, 파일 속성 획득 및 설정
3. 장치 관리에서는 장치를 요구/방출, 읽기 쓰기 위치 변경, 장치 속성 획득 및 설정, 장치의 논리적 부착 및 분리
4. 정보 유지에서는 <시간과 날짜, 시스템 데이터, 프로세스/파일/장치 속성>의 설정과 획득
5. 통신에서는 통신 연결의 생성, 제거, 메시지의 송수신, 상태 정보 전달, 원격 장치의 부착 및 관리
에서 발생한다.
어떤 시스템에서는 코드와 다른 시스템 호출을 이용하여 동일한 작업을 실행하는 API를 제공하기도 하고 단순히 동일한 작업을 실행하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제공하기도 하는데, 만약 이 시스템 프로그램이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호출이 가능하다면 다른 프로그램 입장에서는 이 시스템 프로그램이 API가 된다.
포스팅의 모든 내용은 구글과 operating system concepts 8th edition에서 나옴요
728x90
728x90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세스(3): Process Control Block PCB, CPU Switching (0) | 2020.08.02 |
---|---|
프로세스(2) :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세스, 프로세스의 상태 (0) | 2020.08.02 |
프로세스 (1): 정의, 프로그램과의 차이 (0) | 2020.08.02 |
System Call 시스템 호출, 그리고 API (0) | 2020.07.30 |
인터럽트 Interrupt (0) | 2020.07.30 |
댓글